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조건과 만기금액 정리
청년이라면 누구나 고민하는 “미래 자산 만들기”.
정부에서는 중소기업 청년 근로자를 위한 자산형성 지원 제도로 ‘청년내일채움공제’를 운영하고 있어요 😊
오늘은 청년내일채움공제의 가입 조건, 지원 내용, 만기 수령 금액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릴게요!
1. 청년내일채움공제란?
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이 일정 기간 근무하면 정부와 기업이 함께 적립해 목돈을 마련해주는 제도예요.
- 운영 기관: 고용노동부 /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
- 지원 형태: 청년, 기업, 정부가 공동 적립
- 가입 기간: 2년형 또는 3년형 선택 가능
2. 가입 조건
- 나이: 만 15세 이상 ~ 34세 이하 (군필자는 39세까지)
- 취업 상태: 중소·중견기업 정규직 취업자
- 가입 시기: 취업 후 6개월 이내 신청
- 연봉 조건: 3,600만 원 이하
※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하며, 기존에 다른 자산형성사업 참여 이력이 없어야 합니다.
3. 만기 수령액은 얼마?
공제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, 대표적인 2년형 기준으로 보면 아래와 같아요:
구분 | 청년 납입액 | 기업 지원 | 정부 지원 | 만기 수령액 |
---|---|---|---|---|
2년형 | 300만 원 | 300만 원 | 600만 원 | 1,200만 원 |
3년형 | 600만 원 | 600만 원 | 1,800만 원 | 3,000만 원 |
4. 신청 방법
- 고용24 사이트 가입 및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
👉 https://www.work24.go.kr/cm/main.do - 중소기업 확인 및 근무 사실 확인
- 운영기관 상담 및 서류 제출
- 정식 가입 후 적립 시작
5. 유의사항
- 계약 기간을 모두 채워야 만기금을 받을 수 있어요.
- 중도 퇴사 시에는 정부 지원금 일부가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- 근무기업은 반드시 공제 참여 기업이어야 하며 사전 확인 필수!
함께 보면 좋은 청년 지원 제도
6. 마무리 요약
청년내일채움공제는 “청년 + 중소기업”이라는 두 조건이 맞으면
2년 또는 3년 만에 1,200만 원~3,000만 원까지 모을 수 있는 기회예요.
지금 중소기업에 취업하셨거나 예정이라면, 꼭 확인하고 신청해보세요! 💸
'청년 지원금 총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, 뭐가 다를까? 비교 정리 (1) | 2025.04.08 |
---|---|
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과 혜택, 꼼꼼하게 정리했어요 (1) | 2025.04.08 |
청년월세지원 신청 조건과 절차 총정리 (0) | 2025.04.07 |
댓글